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로 바로가기

제주관광공사

전체메뉴
JTO - JEJU TOURISM ORGANIZATION / 관광으로 지속 가능한 제주 경제를 실현하는 도민의 공기업
고객참여 > 제주관광공사에 바란다(적극행정/일반민원) > 제주관광공사에 바란다

제주관광공사에 바란다

성안, 잠녀 그리고 탐라

작성일
2018-07-06
작성자
오태령
조회
6085
  •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제주성안, 잠녀 그리고 탐라

청람(靑嵐) 吳 庸 舜

원도심이란 글자를 자주 만나면서 이런 획일적이고 평준화 된 표현보다 『제주성안』이란 우리들의 글자를 쓰는 건 어떨까요.물론 우리나라 성(城)이 있었던 마을은 으래 성안이란 표현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곳이 여러 곳이 있습니다.

목관아(牧官衙)에서 온 『모간』, 『모관』 등의 표현 또한 외람되지만 옛 제주성(濟州城) 밖의 멀리 사는 사람들이 목관아에 간다고 약간 으시대는듯한 표현으로 저들끼리만 사용하던 은어일 뿐입니다.
혹자는 제주어사전에도 있다하지만 그건 당시 모든 은어까지도 기록한 것이고 성안 사람들은 결코 사용하지 않은 글자입니다.
서울깍정이나 서울깍쟁이란 말도 시골사람들이 저들 끼리 서울 사람을 빗대어 사용한 일종의 은어일 뿐입니다.

1939년 제주도청에서 출판된 『제주도세요람』의 끝 부분에 요즘처럼 박종실상점을 비롯한 명함광고들이 있는데 주소를 『 제주성내(濟州城內)...』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말 할 때는 『성내』, 『성안』을 둘 다 사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더하여 『탐라』와 『잠녀』라는 우리 글 우리말을 찾읍시다.

1105년 고려 숙종 10년 「탐라군(耽羅郡)으로 하여 현령(縣令)을 두었다. 이를 경래관(京來官)이라 하였다. 탐라가 고려의 한 군(郡)인 탐라군(耽羅郡)으로 개편되면서 구당사(句當使) 윤응균(尹應均)이 내도(來島)하여 남녀 간의 나체 물질 조업에 금지령을 내렸으며 남성 나잠인(裸潛人)들을 가리키는 포작(鮑作)은 주로 깊은 바다에서 전복(全鰒)을 따고 여성 나잠인(裸潛人)들을 가리키는 잠녀(潛女)는 미역, 청각 등 해조류를 채취했다」는 기록에서 보듯이 『잠녀(潛女)』라고 쓰고 또 불러왔으며 지금도 경상도지방에 출가(出稼)한 우리잠녀의 후손들은 모임 명칭으로 잠수, 잠녀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탐라국을 병합한 고려시대인 1211년 고려 희종 7년에 탐라군(耽羅郡)을 제주군(濟州郡)으로 개편하면서 건널 제(濟), 고을 주(州)를 써서 즉 큰 물 건너에 있는 마을이란 뜻의 『제주(濟州)』로 개칭했다는 기록이 있듯이 『탐라(耽羅)』는 빼앗긴 우리들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의 단어요 말이며 우리 탐라인들의 글자인 『탐라』, 『잠녀』. 『성안』 을 찾고, 쓰고, 알려 주는 일에 함께 합시다.

[답변] 성안, 잠녀 그리고 탐라

안녕하십니까. 제주관광공사입니다.
소중한 우리글, 우리말의 사용을 활성화하자는 고객님의 소중한 의견에 저희 제주관광공사도 함께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원 본 ―――――――――――――――――――

제주성안, 잠녀 그리고 탐라
                             
                                   청람(靑嵐)  吳   庸   舜

원도심이란 글자를 자주 만나면서 이런 획일적이고 평준화 된 표현보다 『제주성안』이란 우리들의  글자를 쓰는 건 어떨까요.물론 우리나라 성(城)이 있었던 마을은 으래 성안이란 표현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는 곳이 여러 곳이 있습니다.

목관아(牧官衙)에서 온 『모간』, 『모관』 등의 표현 또한 외람되지만 옛 제주성(濟州城) 밖의 멀리 사는 사람들이 목관아에 간다고 약간 으시대는듯한 표현으로 저들끼리만 사용하던 은어일 뿐입니다.
혹자는 제주어사전에도 있다하지만 그건 당시 모든 은어까지도 기록한 것이고 성안 사람들은 결코 사용하지 않은 글자입니다.
서울깍정이나 서울깍쟁이란 말도 시골사람들이 저들 끼리 서울 사람을 빗대어 사용한 일종의 은어일 뿐입니다.

1939년 제주도청에서 출판된 『제주도세요람』의 끝 부분에 요즘처럼 박종실상점을 비롯한 명함광고들이 있는데 주소를 『 제주성내(濟州城內)...』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말 할 때는 『성내』, 『성안』을 둘 다 사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더하여 『탐라』와 『잠녀』라는 우리 글 우리말을 찾읍시다.

1105년 고려 숙종 10년 「탐라군(耽羅郡)으로 하여 현령(縣令)을 두었다. 이를 경래관(京來官)이라 하였다. 탐라가 고려의 한 군(郡)인 탐라군(耽羅郡)으로 개편되면서 구당사(句當使) 윤응균(尹應均)이 내도(來島)하여 남녀 간의 나체 물질 조업에 금지령을 내렸으며 남성 나잠인(裸潛人)들을 가리키는 포작(鮑作)은 주로 깊은 바다에서 전복(全鰒)을 따고 여성 나잠인(裸潛人)들을 가리키는 잠녀(潛女)는 미역, 청각 등 해조류를 채취했다」는 기록에서 보듯이 『잠녀(潛女)』라고 쓰고 또 불러왔으며 지금도 경상도지방에 출가(出稼)한 우리잠녀의 후손들은 모임 명칭으로 잠수, 잠녀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탐라국을 병합한 고려시대인 1211년 고려 희종 7년에 탐라군(耽羅郡)을 제주군(濟州郡)으로 개편하면서 건널 제(濟), 고을 주(州)를 써서 즉 큰 물 건너에 있는 마을이란 뜻의 『제주(濟州)』로 개칭했다는 기록이 있듯이 『탐라(耽羅)』는 빼앗긴 우리들의 이름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의 단어요 말이며 우리 탐라인들의 글자인 『탐라』, 『잠녀』. 『성안』 을 찾고, 쓰고, 알려 주는 일에 함께 합시다.


  • 수정하기
  • 삭제하기
이전글
제주 동문 시장의 대단한 영업 전략(술수)
다음글
관광지 상품의 가격
  •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 맨위로